
투자 자산의 종류
주식, 채권, 예금, 부동산, 금, 원자재, 비트코인(?) 다양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가상 자산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각 자산별로 특징이 있지 않습니까? 작년부터 화폐가 과도하게 발행되니 통화량이 증가해서 물가가 상승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너무 과도하게 물가가 오르니, 금리를 인상하며 물가를 잡으려고 합니다. 그랬더니, 예금이 늘어나고 주식이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채권은 금리가 상승하면 가격이 하락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니 채권 가격이 하락합니다. 예금하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이렇게 자산은 보통 시소처럼 오르는 것이 있으면, 내리는 것이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왜? 자산을 분산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내 자산을 예금에 2,000만 원, 주식에 2,000만 원, 부동산에 3,000만 원, 채권 투자에 1,000만 원 이렇게 투자하는 것이 자산 배분입니다.

자산 배분이 수익률에 더 큰 영향을 준다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결정하는 것은 어떤 종목을 선택하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자산의 배분을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다. 개인이 늘 수익률 높은 종목을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채권과 주식의 관계처럼 서로 성격이 상이한 자산에 고르게 투자함으로써 자산 전체의 위험을 헷지 하고 수익률을 높이는 것이 결과적으로 돈을 벌 확률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투자는 평생 동안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이렇게 평생 투자를 하려면 급락, 급등을 하는 것보다 완만하게 상승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어떤 투자건 한 평생 투자를 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손실을 전혀 안 보고 투자할 수는 없다. 투자는 인생 그 자체와 비슷하다. 굴곡 없는 인생은 없다. 다만 단 한 번의 실패로 재기가 불가능하다면 그것은 너무 억울한 일일 것이다. 그래서 실패를 대비해 최대한의 손실을 피하면서 재기의 토대를 만들 수 있는 투자 방법으로 자산 배분을 하는 것입니다.
포트폴리오 구성 기초
위험자산(주식)과 안전자산(채권)을 비중에 맞춰 편입하는 것이 포트폴리오 구성의 기본입니다. 전에 주식과 채권을 60:40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코스피와 미국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위험자산으로 편입해 자산 배분 장기투자를 해볼 수 있습니다. 위험 대비 수익률이 이상적이면서 기본적인 포트폴리오 중 하나가 위험자산 60과 안전자산 40 비중의 포트폴리오입니다. 안전자산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변동성이 작아지고 손실 폭이 낮아서 안전한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대신 기대수익률은 떨어집니다.
위험자산의 비중은 투자자의 성향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율적인 위험자산의 범위는 30%에서 70%까지입니다.

투자자 자신의 투자성향 파악하기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한 첫걸음은 투자자 자신의 투자성향을 아는 것이다. 보통 ‘MDD(최대 손실 폭)’와 ‘CAGR(기하평균 연 수익률)’을 기반으로 ‘Sharpe ratio(위험 대비 수익 비율)’을 백테스팅을 통해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투자자가 감당할 수 있는 변동성과 최대 손실 폭을 실전 투자를 통해 실제로 경험해 보는 게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 20%만 하락해도 맨붕이 되기 쉽습니다.

기본적인 ‘60:40 포트폴리오’에서 공격적인 투자자는 위험자산 비중을 높이고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투자자는 위험자산 비중을 낮추고 안전자산을 높여서 투자하면 됩니다. 자신의 연령에 맞게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요? 30대인데 너무 안정적인 투자보다는 살짝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포트폴리오 운영계획
“정적 자산 배분(=전략적 자산배분)”으로 투자할지
“동적 자산 배분(=전술적 자산배분)”으로 투자할지
1) permanent(영구) 포트폴리오 ⇒ 주식 : 채권 : 금 : 현금 = 1 : 1 : 1 : 1
2) all weather(올웨더) 포트폴리오 ⇒ 주식 30%, 장기채 40%, 중기채 15%, 금 7.5%, 원자재 7.5%

리밸런싱 주기 정하기
자산 배분 투자를 할 때 보통 1년에 한 번 리밸런싱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자산의 비중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면 됩니다.

자산 배분 투자는 과학이자 예술이다
- 데이비드 스웬슨 -
다음 주에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미주리와 함께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14강 72법칙 (4) | 2023.03.05 |
---|---|
주식투자 13강 레버리지 (8) | 2023.01.29 |
주식투자 11강 자산 (4) | 2023.01.15 |
주식투자 10강 레이 달리오 (2) | 2023.01.09 |
주식투자 9강 Finviz 쪼개기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