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주리 insight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by 지터리 2022. 11. 28.
728x90
반응형

#빈살만 #사우디왕세자 #왕세자 #네옴시티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찾는 미주리입니다. 최근 한국을 방문해서 떠들썩하게 했던 사우디 왕세자 빈 살만. 오늘은 비공식 전 세계 최고 부자 빈 살만에 대해 알아볼까요? 만수르보다 10배 더 부자. 돈이 너무 많아 돈으로는 뭐든 다할 수 있다고 해서 별명이 미스터 에브리 싱(MR everything)이라고 하죠? 이렇게까지 돈이 많을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사우디 아라비아 왕세자, 빈 살만

출처 : 나무위키

1985년 8월 31일 생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제7대 총리, 국방장관, 왕실 직속 경제위원장,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구단주. 진짜 이름은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빈 살만 왕세자라고 지칭하는데, 빈 살만은 이름이 아니라 살 만의 아들이라는 뜻이고, 이름은 무함마드입니다. 사실 왕세자 즉위 이전 국방장관 시절에는 '무함마드'라고 제대로 표기한 기사가 검색되지만, 무함마드 빈 살만이 왕세자로 책봉된 이후로는 '빈 살만'으로 호칭이 바뀌었습니다.

2017년 6월 21일, 아버지 살만 국왕이 제1왕태자 겸 내무장관인 조카 '무함마드 빈 나예프'를 폐하고 친아들 '무함마드 빈 살만'을 왕세자로 봉한다는 칙령을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왕위 계승에 있어서 세대교체는 물론이거니와 사우디아라비아 최초로 부자 상속까지 확정 지었습니다.

사우디는 부자 상속이 아닌, 장자 승계였다.

그럼, 원래 왕위를 이어 받았을 사촌 형과는 앙숙이 되었겠군요.

사우디 2~7대 국왕 6명 모두 알사우드 아들로 형제지간입니다. 초대 국왕의 의지 덕분에 형제간 다툼은 줄었지만 부작용이 생겼다. 형제끼리 세습이 이뤄지다 보니 '노인 정치(gerontocracy)'라 불릴 정도로 고령화 현상이 심해졌습니다. 2015년 1월 80세 나이로 국왕에 오른 살만 국왕이 이 같은 형제 계승의 전통을 끊었다. 취임 직후 왕세제로 자신의 이복동생 무크린을 책봉했지만, 석 달 뒤 그를 실각시켰습니다. 그 대신 자신의 큰 조카인 무함마드 빈나예프를 제1 왕세자, 친아들인 빈 살만을 제2 왕세자로 지명했습니다. 왕위 계승이 초대 국왕의 아들 세대에서 62년 만에 손자 세대로 넘어간 것이다.

하지만 초대 국왕의 아들 세대에서 손자 세대로 왕위가 넘어가면서 왕자 간 분쟁이 터졌집니다. 작년 6월 빈 살만이 친위 부대를 동원해 사촌 형인 빈나예프를 감금하고 왕세자 자리를 빼앗은 것입니다. 조선시대 이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을 보는 듯하죠? 빈 살만 왕세자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고, 그해 11월에는 정예군을 동원해 잠재적 정적인 사촌 형 왕자들과 그의 측근들을 부패 혐의로 대거 체포했습니다. 당시 사촌 형을 포함한 11명의 왕자, 여러 명의 장관 및 유력 기업인들을 구금했습니다. 그를 비판적인 성직자 지식인 등 500명을 호텔에 연금시켰습니다.

사우디에서 젊은이들에게 지지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낀, 빈 살만 왕세자는 여성들에게 파격적인 정책을 내놓습니다. 운전할 수 있게, 공연도 볼 수 있게, 참 파격적이지요? 그리고, 젊은 혈기로 새로운 사업도 구상합니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사우디를 기존의 석유 의존적 경제에서 탈피해 첨단 기술과 민간 투자의 중심지로 거듭나게 하는 국가 개발 프로젝트 비전 2030를 추진 중입니다.

최첨단 도시 네옴 시티(Neom City) 건설을 계획도 이런 것의 일환입니다.

빈 살만 왕세자와 우리나라 재벌들.

우리나라 삼성 이재용, SK 최태원, 현대차 정의선, 한화 김동관의 모습입니다.

빈 살만의 재산이 2,800조원, 우리나라 재벌들 재산 40조.

우리나라 재벌들 돈 좀 벌어라!!!

https://www.youtube.com/watch?v=louBYnUhfSE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중동의 거대한 나라입니다. 주변에 이란, 이라크, 예멘, 오만, 이집트가 있습니다.

1926년 1월 8일 건국되었습니다. 곧, 건국 100주년이 되겠습니다.

전제군주제 국가이며,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은 국가원수임과 동시에 군 통수권자입니다. 왕이 다스리는 나라입니다. 21세기에 특이하지요? 모든 장관은 왕의 형제나 조카 등 직게 왕족만이 임명됩니다. 의회가 없으므로 국회의원 선거도 없습니다. 언론자유, 민주주의 지수가 매우 낮은 국가입니다.

728x90
반응형

'미주리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FA(국제축구연맹)  (0) 2022.12.18
2022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  (3) 2022.12.12
미국 증시, '추수감사절' 맞아 휴장  (0) 2022.11.25
사우디-미국 결별(?)  (0) 2022.11.21
지금이 바닥인가?  (0) 2022.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