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는 어떤 나라일까요?

아르헨티나 공화국 줄여서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 대륙 남부에 자리 잡고 있는 연방 공화국이다. 연방 국가로서 23개의 주와 자치시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도시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코르도바, 바이아블랑카, 마르델플라타, 라플라타 등이 있고 수도는 부에노스아이레스시입니다.
면적: 2,780,000km²
인구: 4581만 (2021년) 세계은행
면적은 세계 8위, 인구는 우리나라보다 작군요.
그런데, 우승국 아르헨티나의 경제는 말이 아니라지요?

아르헨티나는 최근 물가가 30년 만에 최고 기록을 깨고 있으며 페소 가치가 하락하면서 심각한 경제 위기에 직면하였습니다.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하고 한편으로는 많은 사람이 실직하여 새로운 직장을 얻지 못하고 있지요.
아르헨티나는 지난 12개월 동안 인플레이션이 64%를 기록했고 올해 말까지 인플레이션이 90%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되는 상황입니다.
매일 식료품 가격이 치솟고 있으나 정부는 줄어드는 보유 외환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제한을 하고 있어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는 올해 초 국제통화기금(IMF)의 440억 달러 대출에 대해 채무 불이행은 피했지만, 2020년 지불에 대한 조기 불이행으로 국제 신용도는 낮아져 돈을 꾸기도 쉽지 않아졌습니다.
한편 아르헨티나 국민은 치솟는 인플레이션과 국채 압박에 대해 정부를 비난하면서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수천 명의 시위대는 ‘IMF로부터의 이탈’과 ‘아웃, 펀드, 아웃’이라는 현수막을 들고 행진하면서 긴축 경제 정책에 대해 IMF를 비난하였다지요.
카타르 월드컵 우승국 세 번째 트로피를 들어 올리다.
한 경제학자는 세계경제는 선진국, 후진국, 일본, 아르헨티나로 구분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백인의 비율이 97%로 전 세계에서 백인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 아르헨티나.
희한하게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후퇴한 미스터리한 아르헨티나.
경제가 어렵지만, 아르헨티나는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아마도 아르헨티나 국민들은 이번 월드컵 우승으로 큰 위안을 얻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월드컵 결승전, 월드컵 마지막 경기여서 못 보면 4년을 또 가 다려야 한다는 생각에 결승전을 밤늦게까지 봤는데요. 아르헨티나의 3번째 월드컵 우승으로 마무리되었는데요. 내심 메시가 월드컵 우승하며 라스트 댄스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었습니다.

전반 2:0으로 아르헨티나가 리드할 때까지만 해도 쉽게 우승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프랑스는 슈팅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몰리는 경기를 계속하게 되는데요.
후반 30분이 넘어가면서 살짝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하더니, 페널티킥을 얻는 프랑스. 2:1로 추격에 성공하고 1분 정도 후 음바페가 2 대 1패스로 침투하며 두 번째 골 망을 흔들어버리며 2:2 승부는 원점으로 돌려버립니다.
아~~ 이렇게 메시의 라스트 댄스는 끝나는가 하던 던 때
연장 전반 메시의 천금같은 골이 터지며 3:2. 한편의 드라마가 쓰이는구나 하는데 또다시 음바페의 페널티킥으로 3:3.
이어지는 승부차기.
월드컵 역사상 역대 승부차기 최강자라는 아르헨티나. 확률과 역사는 변하지 않더군요.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며 우승하는 아르헨티나. 너무나 좋아하는 아르헨티나 선수단과 응원단.




우승 트로피를 들고 있는 메시 선수.

우승 카퍼레이드를 펼치는 아르헨티나 축구대표팀.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
'미주리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틴 루터 킹 데이, 미국 시장 휴장 (6) | 2023.01.16 |
---|---|
미국 시장 휴장, New Year Day (0) | 2023.01.03 |
카타르 월드컵 유치 (2) | 2022.12.19 |
FIFA(국제축구연맹) (0) | 2022.12.18 |
2022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 (3) | 2022.12.12 |